주공삼태/순수의 시절
눈님
주마등 스쳐 가는 단발에 하얀 칼라
공약수 찾지 못해 갈등한 푸른 우정
삼계의 종신계획 책갈피 꽂는 희망
태워도 꺼지지 않는 순수의 시절아
삼계 (三計) ;1년 10년 종신의 계획
주공삼태/앵두
주마던 고운 입술 빨갛게 물들었네공들여 햇살 먹고 빗물로 씻은몸은삼일주태
주공삼태(周公三笞) 周:두루 주. 公:공변될 공. 三:석 삼. 笞:매질할 태 주공의 세 차례 매질이라는 뜻으로, 자식들을 엄하게 교육시키는 것 백금(伯禽)과 강숙봉(康叔封)이 성왕(成王)을 알현하고 주공(周公)을 만났다. 이들은 주공을 세 차례 만났는데, 그때마다 주공에게 심하게 매질을 당하였다. 강숙봉이 하얗게 놀란 얼굴로 백금에게 말했다.
"주공께서 어찌하여 우리에게 이토록 엄하게 하시는지, 상자(商子)라는 현명한 자가 있다니, 그를 만나 물어 봅시다."
강숙봉과 백금은 상자를 찾아가 이렇게 말했다.
"전에 저희 둘이 성왕을 알현하고 주공을 세 번 뵌 일이 있습니다. 그때마다 무슨 영문인지 저희에게 심한 매질을 하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두 분은 남산 저쪽에 가보시지 않겠습니까? 거기에 가면 '교(橋)'라는 이름의 나무가 있지요."
두 사람은 남산 남쪽으로 가서 '교'라는 나무를 보았다. 가지들이 위쪽으로 쭉쭉 뻗어 높이 솟아 있었다.
돌아와서 상자에게 그 나무의 모습에 대해 말하니 상자가 이렇게 말했다.
"두 분은 다시 남산 북쪽에 가보시지 않겠습니까. 거기에는 '재(梓)'라는 이름의 나무가 있습니다."
그들은 또 다시 남산 북쪽으로 가서 '재'라는 이름의 나무를 보았다. 그 나무는 반대로 낮게 아래를 향하고 있었다.
두 사람이 돌아오자 상자가 말했다.
"'재'는 자식의 도리옵니다."
두 사람은 다음날 주공을 찾아가서 문을 들어서는 순간 다소곳한 몸가짐으로 마루에 앉아 무릎을 꿇었다. 주공은 그들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음식을 주고 이렇게 말했다.
"어떤 군자를 만났느냐?"
"상자라는 사람을 만났습니다."
"허허, 군자로구나 상자여!"
여기서 교목(橋木)은 아버지의 도리이고, 재목(梓木)은 자식의 도리를 뜻한다. 엄한 교육이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지만, 엄한 훈련과 교육을 받고 성장한 사람은 자신을 절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생각과 행동이 올곧은 경우가 많음을 볼 수 있다.[출전]《說苑》<建本篇>
태산명동
태반이 백수라는 이십대 꽃띠들이
산만한 염세주의 의욕은 간데없고
명문대 금자탑도 빛 좋은 개살구라
동강난 푸른 꿈은 어느 날 꽃피우랴..
진즉 써 두었지만 글도 시원찮고 주인장 글도 엄서서 미뤄 뒀습니다. 여고시절의 모습이 삼삼하게 그려 집니다.
-
눈님2010.11.21 23:49
고학력 졸업장이 백수를 양산하는 것 같아요.
힘들고 열악한 환경에서는 일 하지 않으려고 해요.
저도 위의 운을 정해 놓고 집중이 되지를 않으니 마무리를 못하고 있어요.
랑산님의 학창시절을 엿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