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이란
전통혼례 절차에서
신랑 쪽에서 신부 쪽으로 '혼서'를 보낼 때 혼서를 넣는 상자입니다.
혼서란 것은 신랑 아버지가 신부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
내용은 '당신 딸을 우리 며느리로 줘서 고맙습니다.'란 내용이긴 합니다만 실상은 '당신 딸을 울 며느리로 받아 주겠다'는며 느리 인증서와 같은 겁니다.
과거에는 여인네들이 혼서를 무지 귀중하게 여겨서 평생 동안 잘 간직했다가 나중에서 죽으면서 관속에다 넣을 갈 정도로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요즘 세대들은 그게 뭔지도 모르는 것은 물론 설사 알아도 귀중하게 여기긴커녕 자존심 상하기에 적당한 겁니다.
따라서 요즘은 굳이 혼서를 보내고 받을 필요성이 없어졌습니다.
혼서를 보낼 때는 혼서만 보내는 것이 아니라 시댁에서 신부에게 줄 옷이며, 화장품, 장신구 등 즉 신부가 입고 자신을
꾸미는데 필요한 것들을 함께 넣어서 보냈는데 그런 것들을 통틀어서 '봉채'라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봉채도 현물로 주지 않고 돈으로 주는 게 일반적이고 '봉채비'가 되는 것입니다.
봉채비는 신부가 자신을 꾸미는데 쓰이는 비용, 한편으론 '꾸밈비'라고도 합니다.
위와 같이 함안에 넣어서 보낼 '혼서'와 '봉채'는 없어지고 결국은 빈 껍데기 상자인 함만 남게 된 겁니다.
선물로 비유를 하면 알맹이는 없고 겉포장만 남게 된 겁니다.
그래서 막상 함을 보내려고 하니까 안에 넣을 게 없으니깐 신부에게 미리 줬던(봉채비)한복이며, 화장품, 핸드백 같은 걸
도로 갖고 오라고 하여 그걸 함 속에다 넣어서 다시 보내는 해프닝을 벌이는 분들도 있습니다.
굳이 그런 쇼를 해야만 되는지 모르지만 요즘은 함들이를 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따라서 함들이는 생략하시는 게 좋습니다.
좌우간 옛날에는 함을 받을 때는 신부는 '노랑 저고리에 다홍색 치마'차림으로 자기 방에서 조신하게 앉아 있다가 함을 받는 절차가 끝나고 나서 엄마가 봉채떡 한가운데 놓은 밤 대추 부분을 밥주발 뚜껑으로 푹 떠다 주면 그걸 다 먹었는데,
대추는 이담에 시집가서 아들 쑥쑥 잘 낳으라는 의미이고 밤은 시댁 조상님 제사 잘 모시라는 의미입니다.
*옮겨온 글*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복 (0) | 2009.07.15 |
---|---|
구전가요 (0) | 2009.07.07 |
질투 (0) | 2009.06.26 |
할아버지 할머니 안녕하세요! (0) | 2009.06.24 |
가지나무 모종 찔레꽃 (0) | 2009.06.23 |